본문 바로가기
Ji._.MONEY

삼성중공업의 혁신 기술: 세이버 윈드캡(SAVER Wind[C]) 🚢🌬️

by 즨니 2025. 2. 19.
728x90
반응형

최근 삼성중공업은 자체 개발한 공기 저항 저감 장치인 **'세이버 윈드캡(SAVER Wind[C])'**을 탑재한 1만 5,000TEU급 대형 컨테이너선을 성공적으로 인도했습니다. 이는 신조 선박에 세이버 윈드캡을 적용한 첫 사례로, 친환경·고효율 선박 기술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세이버 윈드캡이란?

세이버 윈드캡은 선박의 선수(船首)에 장착되는 대형 구조물로, 컨테이너 박스에 작용하는 공기 저항을 줄이고, 높은 파도로부터 화물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주요 특징:

  • 아치형 디자인: 다양한 화물 적재와 운항 조건을 분석하여 아치형 디자인을 적용, 선박 전면과 측면의 공기 흐름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킵니다.
  • 연비 향상: 이러한 설계를 통해 연료 효율을 최대 6%까지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구조적 장점: 별도의 지지 기둥이 필요 없어 선박 의장품과의 간섭이 없으며, 타 제품 대비 가벼운 무게로 설계되었습니다.
     

적용 및 성과

삼성중공업은 현재까지 총 41척의 컨테이너선에 세이버 윈드캡 설치 계약을 체결하며, 친환경 선박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미래 전망

**이호기 삼성중공업 친환경연구센터장(상무)**은 "세이버 윈드캡은 친환경·고효율 선박을 실현하기 위한 삼성중공업의 독자 기술"이라며, "앞으로도 고객의 요구에 맞춘 친환경 제품 개발과 시장 확대에 주력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세이버 윈드캡은 삼성중공업의 지속적인 친환경 기술 개발 노력의 일환으로, 향후 글로벌 해운 산업의 친환경 트렌드를 선도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삼성중공업 주식 분석: 현재와 미래 전망

삼성중공업은 조선해양 부문과 토건 부문을 영위하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조선사입니다. 최근 몇 년간의 실적 개선과 함께 주가에도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삼성중공업의 사업 현황, 재무 실적, 주가 동향, 그리고 미래 전망에 대해 자세히 분석하겠습니다.

1. 사업 개요

삼성중공업은 조선해양 부문에서 초대형 컨테이너선, LNG 운반선, 원유 운반선 등 다양한 선박과 해양 플랫폼을 건조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 토건 부문에서는 건축, 토목, 하이테크 공사를 수행하며, 주로 국내 건축업주를 대상으로 매출을 올리고 있습니다. 특히, 조선해양 부문은 해외 선주를 대상으로 한 매출 비중이 높습니다.

2. 재무 실적

2024년 9월 기준, 삼성중공업은 전년 동기 대비 연결 기준 매출액이 29.2% 증가하였으며,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112.8%, 113.6%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LNG 운반선, 초대형 컨테이너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의 판매 증가와 해양 플랫폼 수요 확대에 기인합니다.

또한, 2024년 2분기 매출은 2조 5,320억 원, 영업이익은 1,307억 원으로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실적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해양 부문의 Change Order 250억 원을 제외하더라도 경상적인 영업이익이 1,057억 원으로, 영업이익률(OPM) 4.2%를 달성한 수치입니다.

 

3. 주가 동향 및 투자 지표

삼성중공업의 주가는 최근 52주 신고가를 경신하며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5년 2월 19일 기준, 주가는 12,930원이며, 시가총액은 약 104,456억 원입니다. 주가순자산비율(PBR)은 3.21배로, 업종 평균 대비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미래에셋증권은 삼성중공업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15,000원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현재 주가 대비 약 36.2%의 상승 여력을 의미합니다. 목표주가는 2026~2027년 예상 BPS(주당순자산가치) 평균 8,030원에 목표 P/B 1.9배를 적용하여 산출되었습니다.

 

4. 미래 전망

삼성중공업은 LNG 운반선, 컨테이너선, FLNG 등 고부가가치 선박에 집중하여 수주 잔고의 볼륨과 수익성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해양 부문에서는 FLNG 프로젝트에 적극 참여하여 안정적인 매출 기반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판교 사옥 매각을 통해 일회성 이익을 창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재무 구조 개선과 자본 증가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재무적 유연성은 향후 신규 투자와 연구 개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5. 결론

삼성중공업은 고부가가치 선박에 대한 집중과 해양 부문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실적 개선을 이루고 있으며, 주가 또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조선업 특성상 글로벌 경기 변동과 원자재 가격에 민감하므로, 투자 시 이러한 외부 요인들을 고려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