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i._.INFO

하수도법에서의 분류식 관과 통합식 관 – 차이점과 특징

by 즨니 2025. 3. 11.
728x90
반응형

하수 처리는 도시 환경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하수도법에서는 하수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분류식 관통합식 관 두 가지 방식의 하수도 시스템을 운영한다. 이번 글에서는 분류식 관과 통합식 관의 개념, 차이점, 장단점, 법적 기준을 살펴보겠다.


1. 하수도법과 하수도 시스템 개요

하수도법은 도시 및 농촌 지역에서 하수(생활하수, 산업폐수, 우수 등)를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환경 보호 및 공중 보건을 유지하기 위한 법률이다.

하수 처리 방식에 따라 하수도 시스템은 크게 분류식 관과 통합식 관으로 구분된다.


2. 분류식 관(Separate Sewer System)이란?

(1) 개념

분류식 관은 생활하수(오수)와 우수를 각각 다른 배관으로 분리하여 처리하는 방식이다.

생활하수 및 산업폐수 → 오수관 → 하수처리장으로 이동
빗물(우수) → 우수관 → 강, 바다, 하천 등 자연 방류

즉, 생활하수와 빗물을 따로 처리하여 하수 처리 시설의 부담을 줄이고, 환경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2) 장점과 단점

장점

  • 오염된 하수를 집중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수질 개선에 효과적
  • 강우 시에도 하수처리장이 과부하되지 않음
  • 빗물을 자연으로 방류해 환경 보호 효과가 있음

단점

  • 우수관과 오수관을 각각 설치해야 하므로 초기 건설비가 높음
  • 이미 구축된 기존 하수도 시스템을 개량하는 데 많은 비용이 소요됨

(3) 적용 사례

  • 최근 신도시 및 대규모 개발지역에서는 분류식 관이 일반적으로 적용됨
  • 수질 보호가 중요한 상수원 보호 지역에서 주로 사용됨

3. 통합식 관(Combined Sewer System)이란?

(1) 개념

통합식 관은 생활하수(오수)와 빗물(우수)을 하나의 배관으로 통합하여 처리하는 방식이다.

생활하수 + 빗물 → 동일한 하수관 → 하수처리장으로 이동
✔ 강우량이 많을 경우, 일부 하수가 하천이나 강으로 직접 방류될 수도 있음

과거에는 경제적 이유로 통합식 관이 널리 사용되었지만, 환경 오염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현재는 점차 분류식 관으로 전환하는 추세이다.


(2) 장점과 단점

장점

  • 하수관이 하나이므로 초기 건설비용이 저렴
  • 기존 도시에서는 새로운 배관 공사 없이 유지·보수 가능

단점

  • 강우량이 많을 때 처리 용량을 초과하면 오염된 하수가 그대로 방류됨
  • 하수처리장의 부담이 커지며, 폭우 시 도심 침수 위험이 있음
  • 환경 오염 우려로 인해 규제가 강화되는 추세

(3) 적용 사례

  • 기존 도심 지역(특히 오래된 도시)에서는 여전히 통합식 관이 사용됨
  • 비용 문제로 인해 기존 통합식 관을 완전히 분류식으로 바꾸기는 어려움

4. 분류식 관과 통합식 관의 비교

처리 방식 생활하수와 빗물을 분리하여 처리 생활하수와 빗물을 같이 처리
배관 개수 오수관 + 우수관 (2개) 단일 하수관 (1개)
환경 영향 수질 보호 효과 높음 폭우 시 미처리 하수 방류 가능성
초기 비용 건설비용 높음 상대적으로 저렴
유지보수 정기적인 유지 필요 기존 도시에서 유지·보수 용이
적용 지역 신도시, 환경 보호 지역 기존 도심, 오래된 하수도망 지역

5. 하수도법에서의 관련 규정

대한민국 하수도법에서는 환경 보호 및 공공 위생 강화를 위해 분류식 관을 적극적으로 확대하는 방향으로 규정하고 있다.

제8조(하수도 정비 기본계획)

  • 정부는 하수처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분류식 하수도를 확대 적용하도록 정책 추진

제9조(방류수 기준 및 처리 시설)

  • 통합식 하수관을 운영하는 경우, 강우 시 미처리 하수가 방류되지 않도록 대비책을 마련해야 함

제26조(하수도 설치 및 관리 기준)

  • 신규 개발 지역은 원칙적으로 분류식 관을 설치해야 함

결과적으로, 환경 오염을 줄이고 하수 처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통합식 관보다 분류식 관이 권장되는 추세이다.


6. 결론 – 분류식 관과 통합식 관의 선택

하수도 시스템은 도시 환경과 경제적 요소를 고려하여 적절한 방식이 선택되어야 한다.

신규 개발 지역: 환경 보호를 위해 분류식 관을 기본으로 설치
기존 도심 지역: 경제적 이유로 통합식 관을 유지하되, 점진적 개선 필요
강우 대비 시스템: 폭우 시 미처리 하수가 방류되지 않도록 배수 조절 및 우수 처리 대책 강화

현재 하수도법은 분류식 하수도를 우선적으로 확대하는 방향으로 개정되고 있으며, 환경 보호를 고려한 하수 처리 방식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앞으로 도시 개발과 하수 관리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보다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인 하수도 시스템이 정착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제 분류식 관과 통합식 관의 개념이 이해되었나요?
궁금한 점이 있으면 댓글로 질문해주세요!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