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i._.INFO

📉 PER가 마이너스? 이래도 괜찮을까?

by 즨니 2025. 3. 28.
728x90
반응형
SMALL

투자자라면 꼭 알아야 할 주가수익비율의 진실

안녕하세요! 😊
주식 투자하면서 **PER(주가수익비율)**이라는 용어,
한 번쯤은 들어보셨죠?

보통 PER이 낮으면 “저평가된 주식”,
PER이 높으면 “고평가된 주식”이라고들 합니다.
그런데…
간혹 **PER이 마이너스(-)**인 기업도 보신 적 있지 않으신가요? 😮
그럼 이런 주식은 ‘절대 사면 안 되는 주식’일까요?

오늘은 바로 그 **“마이너스 PER”**에 대해
쉽고 친절하게 설명드릴게요!


💡 PER이란 무엇인가요?

PER (Price to Earnings Ratio)
= 주가 ÷ 주당순이익(EPS)

쉽게 말하면,
**“현재 주가가 연간 순이익의 몇 배인가?”**를 나타내는 지표예요.

예시:

  • 주가 10,000원
  • 주당순이익(EPS) 1,000원 → PER = 10배

이 뜻은 “이 회사가 매년 1,000원을 벌면,
10년간 이익을 모아야 내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 그런데 PER이 마이너스?

PER이 마이너스라는 건 = 순이익이 마이너스 = 적자 기업
즉, 돈을 벌기는커녕 손해를 보고 있는 기업이라는 뜻이에요.

예시:

  • 주가 5,000원
  • EPS = -500원 → PER = -10

PER 공식에서 분모(EPS)가 마이너스면
당연히 PER도 마이너스가 됩니다.


😨 마이너스 PER, 투자하면 안 될까?

꼭 그렇진 않습니다!
마이너스 PER이라고 해서 무조건 나쁜 기업은 아니에요.

이럴 땐 괜찮아요

  1. 일시적인 적자인 경우
     예: 신제품 출시 준비, 일회성 비용 발생 등
  2. 미래 성장 가능성이 큰 기업
     예: 바이오, 기술 스타트업, 전기차, AI 등
     → 당장은 적자지만 R&D 투자 중이라 향후 큰 이익 기대
  3.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한 전략적 적자
     예: 넷플릭스, 쿠팡 등 초기 적자 감수한 성장 전략

이럴 땐 조심하세요

  1. 지속적인 적자 기업
     → 몇 년째 이익 없이 흑자 전환 계획도 없음
  2. 부채 과다 + 영업손실
     → 재무구조 불안정 = 상장폐지 위험까지도 있음
  3. ‘테마’로만 묶여 오르는 주식
     → 실적 없는 기대감만으로 주가 상승 = 위험

🧐 PER 외에도 함께 봐야 할 지표들

PER만으로 투자 판단을 하면 안 돼요!
함께 체크하면 좋은 재무 지표들:

  • PBR (주가순자산비율): 자산 대비 주가가 적절한지
  • ROE (자기자본이익률): 자본 대비 얼마나 잘 벌고 있는지
  • 부채비율, 유보율: 회사 재무 건전성
  • 영업이익률: 실제 영업에서 돈을 얼마나 버는지

💬 한 줄 요약

"PER이 마이너스라고 무조건 나쁜 건 아니지만,
그 이유를 꼼꼼히 따져보는 게 중요하다!"

성장 중인 기업일 수도 있고,
반대로 회생 가능성이 없는 기업일 수도 있어요.
이유 없는 적자는 없다!
그래서 투자는 공부가 필요하다는 말이 괜히 나온 게 아니랍니다 😊


✨ 마무리하며…

PER이 마이너스라고 무조건 피할 필요는 없지만,
단순히 숫자만 보고 판단하지 말고
기업의 실적 흐름, 산업 트렌드, 재무 상태
함께 살펴보는 눈을 기르는 게 중요해요!

혹시 관심 있는 기업이 있는데 PER이 마이너스라 고민 중이라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함께 분석해볼게요 💬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