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i._.INFO

⚙️ 중권? 파권? 전기 공부할 때 꼭 알아야 할 기본 개념 💡

by 즨니 2025. 4. 1.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
오늘은 전기 전공자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중권”과 “파권”**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해요!

이 단어들, 처음 들으면 딱딱하고 어려워 보이지만
사실 개념만 잘 잡으면 아주 간단해요.

특히 **직류기(DC Machine)**의 전기자 권선 방식과 관련된 개념이기 때문에
모터나 발전기 원리를 이해할 때 정말 중요한 부분이죠.

그럼 지금부터 아주 쉽게! 차근차근! 설명해볼게요 😊


🧠 먼저, “권선”이 뭐예요?

직류기(DC 모터/발전기)의 안쪽에는 코일이 감겨 있는 부분이 있어요.
우리는 이걸 전기자 권선이라고 부르는데요,

쉽게 말하면,

전류가 흐르도록 감겨 있는 구리선의 배열 방식이에요.

이 구리선이 어떻게 감겨 있느냐에 따라
전기의 흐름, 전압/전류 특성, 출력이 달라질 수 있죠.

그리고 이 감는 방식이 바로
👉 중권(Wave Winding)
👉 파권(Lap Winding)
으로 나뉘게 되는 거예요!


⚙️ 중권(Lap Winding)이란?

중권은 각 코일의 끝이 바로 옆 슬롯에 연결되는 방식이에요.
그래서 한 바퀴 감을 때, 코일이 옆 칸으로 ‘겹쳐서’ 연결된다고 보면 돼요.

📌 “중첩된다(lap)” → 그래서 ‘중권’이라고 불러요.

💡 중권의 특징

  • 병렬회로 수 = 극 수
    → 즉, 극 수가 많을수록 병렬회로도 많아져요.
  • 전류가 많은 기계에 적합
    → 병렬 회로가 많으니, 큰 전류도 감당 가능!
  • 저전압 고전류에 유리

✅ 예시

  • 공장 기계, 엘리베이터, 큰 전류가 필요한 시스템

🌊 파권(Wave Winding)이란?

파권은 각 코일의 끝이 멀리 떨어진 슬롯과 연결돼요.
그래서 코일이 파도처럼 넓게 퍼지는 느낌이에요 🌊

📌 “파도처럼 퍼진다(wave)” → 그래서 ‘파권’이라고 해요.

💡 파권의 특징

  • 병렬회로 수 = 2 (항상 2개!)
  • 고전압 저전류에 유리
  • 전류 흐름이 직렬 중심이라 전압 상승 가능
  • 구조가 더 복잡해서 제작은 까다로운 편

✅ 예시

  • 송전용 발전기, 전압이 중요한 곳, 소형 정밀 장치 등

🔁 중권 vs 파권 비교 요약

 

  중권(Lap) 파권(Wave)
병렬회로 수 극 수 (다수) 2
전류 특성 고전류 고전압
권선 연결 옆 슬롯 연결 멀리 떨어진 슬롯 연결
용도 큰 전류를 요구하는 기계 높은 전압이 필요한 장치
제작 난이도 비교적 쉬움 다소 어려움

🧰 왜 이런 구분이 필요한 걸까?

모터나 발전기를 설계할 때는
“전압이 중요한지”, **“전류가 중요한지”**를 먼저 따져야 해요.

예를 들어,

  • 공장처럼 전류량이 큰 환경에서는 ‘중권’
  • 멀리 전기를 보내야 하는 송전용 발전기에는 ‘파권’

이렇게 용도에 맞게 권선 방식을 선택하는 거죠!


📚 전기기사 시험에서도 나오는 개념!

중권/파권은 단순히 이론으로 끝나지 않아요.
전기기사/전기공사기사 시험에서도 자주 출제되는 개념이에요.

자주 나오는 포인트는 이런 것들!

  • 병렬 회로 수 계산
  • 전압/전류 특성
  • 권선 수, 슬롯 수 계산 문제
  • 직류기의 전기자 권선 분석

그러니까 꼭 한 번쯤은 정리해두는 걸 추천해요 😊


🧩 마무리 정리

 

  중권 파권
병렬회로 수 극 수 2
특성 저전압, 고전류 고전압, 저전류
구조 간단 복잡
용도 대형기계, 고전류 기기 송전, 고전압 장치
시험 포인트 병렬 회로 계산, 감는 방식 이해  

✍️ 마무리하며…

처음에는 어렵게 느껴졌던 ‘중권’과 ‘파권’,
이제는 좀 더 이해가 되셨나요? 😊

전기는 눈에 보이지 않아서 어렵지만,
이렇게 그림을 그리듯 생각하면 조금씩 친숙해져요.

모터와 발전기의 핵심 개념이기도 하니,
이 두 가지 개념은 꼭 기억해두세요!

혹시 이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로 의견 남겨주시거나, 궁금한 주제를 알려주세요 :)
다음엔 더 흥미로운 전기 이야기로 찾아올게요 ⚡

감사합니다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