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948년, 펜실베이니아 공과대학(드렉셀 대학)의 대학원생이던 버나드 실버는
한 슈퍼마켓 운영자의 요청을 듣게 돼요.
“계산을 더 빠르게 할 수 있는 방법 없을까요?”
제품 정보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했던 거죠.
이에 버나드 실버와 노먼 우드랜드는 힘을 모아
빛과 선으로 데이터를 읽어내는 시스템을 개발하게 됩니다.
노먼은 모래사장에서 손가락으로 선(line)을 그리며 아이디어를 착안했다고도 알려져 있어요!
📅 바코드 특허와 발전
- 1952년: 바코드 특허 등록 (미국 특허번호 2,612,994)
- 원형 형태의 바코드 디자인이었으며, 음파와 빛을 이용한 방식도 함께 포함됨
하지만 당시엔 기술과 시장이 준비되지 않아 상용화까지는 시간이 걸렸어요.
이후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레이저 스캐너와 컴퓨터 기술이 발달하고
유통업계의 관심이 집중되며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어요.
🛒 최초로 바코드가 찍힌 제품은?
1974년 6월 26일,
미국 오하이오주의 한 슈퍼마켓에서
**“Wrigley’s Juicy Fruit 껌”**이 바코드 스캐너로 최초 인식된 제품이랍니다!
이 사건은 바코드 상용화의 상징적인 첫걸음으로 기록돼 있어요 😊
🙌 노먼 우드랜드의 공로
노먼 조지프 우드랜드는
그 공로를 인정받아 1992년 **미국 국가 기술훈장(National Medal of Technology)**을 수상했고,
2000년대까지도 바코드 기술의 발전과 표준화에 기여했습니다.
그는 2012년 91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지만,
지금도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바코드는 그의 발명 덕분에 가능한 것이죠.
728x90
반응형
'Ji._.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셀 업무용 함수 총정리! 실무에서 바로 쓰는 꿀팁 모음 💼✨ (0) | 2025.04.10 |
---|---|
🏗️ 현장에서 꼭 필요한 "말비계"란? 초보도 쉽게 이해하는 구조물 이야기 (0) | 2025.04.10 |
🎓 사회복지학과 졸업생도 딸 수 있는 "기사" 자격증, 뭐가 있을까? (1) | 2025.04.07 |
과거 미터의 기준,크립톤-86(Kr-86) 원자를 통한 빛의 정의 🌈 (0) | 2025.04.07 |
🚗 토션바(Torsion Bar) 서스펜션이란? (0)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