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 전압의 기준은 어디서 왔을까? 조셉슨 효과와 전기 단위(V)의 역사 이야기

by 즨니 2025. 5. 15.
728x90
반응형

우리는 너무나 쉽게 “220V 콘센트”, “5V 충전기” 같은 말을 하지만,
잠깐만 생각해보면 이런 질문이 떠오르기도 하죠.

“도대체 **‘1볼트(V)’는 누가, 어떻게 정한 걸까?”
그리고 그건 전 세계가 똑같이 알고 있는 걸까?”

오늘은 전압의 국제 기준이 어떻게 생겼고,
왜 지금은 양자역학의 ‘조셉슨 효과’로 측정하는지,
그 역사를 간단하고 재미있게 풀어보겠습니다.


🔌 전압(V)의 단위는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 “볼트”는 어디서 왔을까?

  • 전압 단위 **V(볼트)**는 19세기 이탈리아 과학자 **알레산드로 볼타(Volta)**의 이름에서 유래합니다.
  • 그는 최초의 화학 전지를 만든 인물로, 전위차 개념을 도입했죠.

📍 초기의 전압 기준은?

  • 은-아연 전지, 다니엘 전지 등을 기준으로 썼으나,
    불안정하고 재현 불가
  • 이후에는 전기화학 반응 기반 표준 전지가 개발되었고,
    1V = 특정 조건에서 동작하는 전지의 출력으로 정의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 열, 시간, 오염 등으로 인해 기준이 자주 바뀜
💥 국제적인 표준화가 어려움
→ "전압도 플랑크 상수처럼 ‘절대적인 기준’이 필요하다!"


⚛️ 전압의 기준을 바꾼 조셉슨 효과(Josephson Effect)

1962년, 영국의 물리학자 **브라이언 조셉슨(Brian D. Josephson)**은 놀라운 현상을 예측합니다.

초전도체 사이 얇은 절연막을 전자가 ‘터널링’해 넘어가며 전압과 주파수가 정확히 연동된다!

이 현상은 실험적으로도 검증되었고,
**‘조셉슨 접합(Josephson junction)’**이라는 나노 소자가 탄생합니다.

🧪 조셉슨 효과의 핵심 식

V=nhf2eV = \frac{n h f}{2e}

  • VV: 전압
  • hh: 플랑크 상수
  • ff: 주파수 (GHz 수준의 마이크로파)
  • ee: 전자 1개의 전하량
  • nn: 정수 계수

✅ 이 식의 놀라운 점은?
모든 값이 불변 상수 or 정밀히 생성 가능한 값이라는 것!


🔧 그래서 전압은 어떻게 측정하는가?

조셉슨 효과를 기반으로 만든 **전압 기준 장비 (Josephson voltage standard)**는
현재 전 세계 모든 국가의 전기 계측 표준기관에서 사용하는 기본 장비입니다.

  • 1V를 생성하는 정확한 기준을 전 세계가 공유
  • 주파수만 정확하게 제어하면 전압도 정확히 생성 가능
  • 오차 수준: 수십억분의 1 (10⁻⁹ 수준)

💡 **‘디지털 SI 단위 시대’**의 대표 사례!


📐 국제표준화: IEC와 BIPM의 역할

IEC (국제전기기술위원회) 전기·전자 기술의 국제표준 개발. 계측 장비 성능, 인증 기준 제시
BIPM (국제도량형국) 전 세계 SI 단위 유지, 분배, 비교. 전압은 조셉슨 기반으로 유지됨
 

📌 **각국의 표준기관(NIST, KRISS 등)**은 BIPM과 연결돼 있으며,
공식적으로 “1V = 조셉슨 기준 기반”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 전기 단위 정의의 변화

볼트 (V) 표준 전지의 전위차 조셉슨 효과 기반 (f, h, e)
암페어 (A) 두 전선 사이의 자기력 전자 1개의 전하량 e 고정
옴 (Ω) V/A (기초 단위 조합) 양자 홀 효과 기준
 

전기 단위 전체가 “양자 전기 현상 기반”으로 통일된 것!


✍ 마무리하며

‘전압’은 더 이상 단순한 숫자가 아닙니다.
이제는 양자역학 + 주파수 기술 + 상수 기반 과학의 결정체입니다.

누구나 1V를 정확히 재현할 수 있는 이 시대,
전압은 더 이상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정의된 수학적 기준”이 되었어요.

그리고 이 변화는
스마트폰부터 반도체, 의료기기, 우주항공까지…
모든 정밀 전기기술의 기반이 되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