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기계 설계 도면을 보다 보면 전체 구조는 대충 알겠는데, 특정 부분에 작은 화살표와 함께
「リンク溝詳細」, 「部詳細」 같은 표기가 나오면 “이건 뭘까?” 하고 막막했던 적, 있으셨을 거예요.
이번 글에서는 일본어 기계 도면에서 자주 보이는
‘링크 홈 상세(リンク溝詳細)’ 와 ‘부품 상세(部詳細)’ 표기에 대해
예시를 곁들여 기초부터 실무까지 완전 정복해볼게요!
🔍 기본 개념부터 정리!
✅ リンク溝詳細(リンクみぞしょうさい)
→ 링크 홈 상세
- ‘リンク(링크)’: 링크 기구나 회전 운동을 전달하는 장치의 일부
- ‘溝(みぞ)’: 홈, 슬롯 (groove)
- 즉, 링크 기구가 움직이는 홈의 형상 및 치수를 상세하게 표시한 도면
✅ 部詳細(ぶしょうさい)
→ 부(부분) 상세
- ‘部’: 부분, 부위
- ‘詳細’: 상세
- 도면 전체 중 특정 부분을 확대해 보여주는 상세 보기
이 두 용어는 기계 설계 도면의 **일부분 확대 도면(상세도)**를 표현할 때 꼭 등장합니다.
🔧 リンク溝(링크 홈)이란?
링크 홈은 슬라이딩하거나 회전 운동을 안내하는 홈이에요.
특히 캠(cam) 메커니즘, 슬라이더, 또는 연동 기구 등에서 많이 사용돼요.
예를 들면:
- 팔이 움직이는 기구에서 회전축의 움직임을 홈으로 제한해줄 때
- 특정 범위로만 움직여야 할 장치를 가이드할 때
홈의 **형상(직선, 곡선, 사다리꼴 등)**이나 폭, 깊이가 정확해야 원활하게 작동하기 때문에
링크 홈은 반드시 ‘상세도’로 표현되어야 해요.
📐 リンク溝詳細 도면 예시에서 보는 요소들
도면의 일부에 이렇게 표시됩니다:
- R10: 반지름 10mm의 곡선을 가진 홈
- 溝幅: 홈의 폭 (폭이 12mm)
- 溝深さ: 홈의 깊이 (깊이 5mm)
- A部拡大: 도면에서 A 부위를 확대한 것
추가로 나타나는 정보
- 홈의 시작점과 끝점 위치 (좌표로 표현)
- 운동 방향 표시 (화살표)
- 가공 방법 (밀링, 와이어컷 등)
🔍 部詳細는 왜 필요한가요?
기계 도면은 기본적으로 축소된 도면이라 작은 부품이나 가공 형상은 한눈에 보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중요한 부분이나 복잡한 구조는 확대해서 따로 상세도를 그리는 것이죠.
부 상세도에는 보통 다음이 포함됩니다:
- 가공 형상의 정밀한 형상 (R, C, 홈, 탭 등)
- 도면에서 생략된 치수의 정확한 수치
- 공차, 표면 거칠기 등의 정보
📌 도면에서 부 상세도(部詳細)의 위치 찾는 법
전체 도면에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시됩니다:
- "A部詳細" → "A" 부분을 상세도에서 따로 그림
- "拡大B" → "B 영역을 확대"
그리고 해당 부위는 원 또는 사각형으로 표시되며 화살표 또는 선으로 상세도와 연결됩니다.
💡 팁: 상세도를 놓치면 전체 형상을 잘못 이해할 수 있으니 도면 볼 때 반드시 확인해야 해요!
🛠️ 실무에서 자주 쓰이는 상세도 표현
A部詳細 | 도면 A 부위의 상세도 |
リンク溝詳細 | 링크 홈 형상의 상세 표현 |
拡大図 | 확대 도면 |
部分拡大図 | 특정 영역의 확대 |
切欠詳細 | 키홈이나 노치의 상세 |
タップ詳細 | 나사탭 가공 상세 |
面取り詳細 | 모서리 다듬기 상세 (C면, R면 등) |
🎯 실제 예시 – 링크홈이 포함된 슬라이드 기구
예: 슬라이드 이동 부품 설계에서
- 전체 도면에는 링크홈의 시작점과 끝점, 방향만 나와 있음
- リンク溝詳細 도면에서 홈의 곡률, 깊이, 테이퍼 각도 등 정밀하게 표시
- 部詳細에는 슬라이드 홈 내부에 삽입되는 롤러 형상도 포함
이런 도면은 정밀가공이나 조립공정에 매우 중요하며, 설계자와 제작자 간의 의사소통 도구 역할도 해요.
✏️ 설계자 입장에서 주의할 점
- 홈의 깊이/폭 표시는 명확하게!
- “깊이”와 “폭”을 반드시 단위와 함께 표기
- 홈의 곡률(R), 테이퍼 각도도 누락 없이
- 표면처리나 열처리 조건이 있을 경우 상세도에 표시
- 도면 간 참조 번호(A, B, C 등)를 정확히 맞춤
- 표기 언어가 일본어라면 용어 통일 필요
✅ 마무리 정리
リンク溝詳細 | 링크홈의 확대도 | 기구의 운동 경로를 정밀하게 표시 |
部詳細 | 특정 부위의 확대도 | 도면 이해를 돕고 가공 정확도 향상 |
拡大図 | 전체 도면에서 일부 확대 | 보기 어려운 형상을 명확히 표현 |

🧠 함께 보면 좋은 포스팅
- 🔩 [기계 도면의 표면 거칠기 기호 완전 해석]
- 📏 [기계 도면의 공차(Tolerance) 읽는 법]
- 🛠️ [도면상의 R, C, φ 표기의 뜻과 실제 가공]
🙌 마무리 인사
기계 설계 도면에서 「リンク溝詳細」와 「部詳細」는 단순한 보조 요소가 아니라,
제품의 정밀도, 가공 가능성, 그리고 설계 의도를 전달하는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입니다.
다음에 도면을 볼 때 이 두 표현이 나온다면,
그 부품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어디서 문제가 생길 수 있는지를 더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거예요!
궁금한 도면 용어나 실제 예시 이미지가 필요하시면 언제든지 말씀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