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i._.INFO

뇌 속 숨은 섬, 인술라(Insula)란?

즨니 2025. 4. 4. 11:43
728x90
반응형

감정과 공감, 의식의 비밀을 품은 뇌의 작은 구조

안녕하세요 😊
오늘은 뇌과학에서 자주 등장하지만, 일반 대중에겐 아직 생소한 구조인
‘인술라(Insula)’, 한국어로는 **‘섬엽(섬질)’**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해요.

'인술라'는 우리 뇌에서 감정, 공감, 내부 감각, 의식과 밀접하게 연결된 중요한 부위예요.
하지만 겉으로는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숨겨진 섬(hidden island)"이라고도 불리죠.

그럼 지금부터 인술라의 위치, 기능, 그리고 우리가 일상 속에서 경험하는 감정과 인술라의 연결고리를 하나씩 알아볼게요 😊


📍 인술라는 어디에 있을까?

인술라는 뇌의 측두엽과 전두엽 사이, 대뇌피질 안쪽 깊은 곳에 위치해 있어요.
뇌를 살짝 벌려야 보이는 **'숨겨진 영역'**으로, 이름 그대로 섬처럼 안쪽에 숨어 있는 피질이에요.

  • 🧠 영어로는 Insula (Island)
  • 🧠 한국어로는 섬엽 또는 섬질
  • 📍 중심 열구(Sylvian fissure) 안쪽에 위치

💡 인술라의 주요 기능

인술라는 단순히 '감정'만을 담당하는 게 아니라,
우리의 몸과 마음의 연결을 담당하는 복합적인 센터예요.

1. 감정의 감지와 처리

  • 두려움, 혐오, 슬픔, 기쁨 등 기본적인 감정의 신호를 처리
  • 특히 불쾌하거나 역겨운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함

2. 신체 내 감각(내부 감각, interoception)

  • 배고픔, 심장박동, 호흡, 통증 등 내부 상태를 인식
  • → “내가 지금 떨고 있구나”, “속이 불편하다”는 느낌을 담당

3. 공감 능력과 사회성

  • 타인의 고통이나 감정을 직관적으로 느끼게 해주는 역할
  •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나 공감 능력 이상과 관련 있음

4. 의식과 자기 인식

  • "나는 나다"라는 자기 인식과도 연관
  • 일부 뇌과학자들은 인술라가 ‘의식의 중심’ 역할을 한다고도 봅니다

🧠 인술라와 관련된 뇌 연구 사례

  1. 역겨움과 인술라
    • 특정 환자에게 인술라를 자극하자 구토 반응이 나타났다는 연구가 있어요
    • '기분 나쁜 느낌', '불편한 감정'과 깊은 연관
  2. 공감 실험
    • 타인의 고통을 보는 실험에서, 인술라의 활동이 활발히 나타남
    • 특히 타인의 고통을 실제로 느끼는 듯한 뇌 반응이 인술라에서 나타남
  3. 불안장애 및 중독
    • 인술라가 과도하게 활성화되면 불안장애강박 행동과 연관 있음
    • 흡연자의 경우, 인술라가 손상되면 금연이 쉬워진 사례도 보고됨

🧘 일상 속 인술라의 역할

  • 사랑하는 사람이 다쳤을 때 같이 아픈 느낌
    → 인술라가 공감 회로를 통해 반응 중
  • 숨이 차고 가슴이 두근거릴 때 ‘불안하다’고 느끼는 것
    → 인술라가 내부 상태를 인식
  • 식중독 이후 유사한 냄새를 맡고 ‘역하다’고 느끼는 것
    → 인술라가 학습된 감각과 기억을 연결

🧠 인술라를 건강하게 유지하려면?

  1. 명상과 호흡 조절
    • 인술라는 호흡과 심장박동에도 민감하기 때문에
      깊은 복식 호흡이나 명상은 인술라의 과도한 활성화를 낮추는 데 도움될 수 있어요.
  2. 감정 인식 훈련
    • 자신의 감정을 말로 표현해보는 연습(감정 일기, 대화 등)을 통해
      감정 처리 능력과 자기 인식이 향상될 수 있어요.
  3. 공감 활동
    • 타인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는 습관, 봉사활동 등은 인술라의 사회적 기능 활성화에 긍정적!

✍️ 마무리하며

감정과 몸, 의식의 중심’이라는 수식어가 정말 어울리는 인술라.
겉으로는 잘 보이지 않지만, 우리의 생각과 행동, 감정 뒤에는 인술라의 활동이 늘 숨어있습니다.

현대 사회에서 점점 감정 표현과 공감 능력이 중요해지는 만큼,
뇌 속 작은 섬인 인술라의 존재는 앞으로 더 주목받게 될 거예요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뇌의 다른 영역인 편도체(Amygdala)나 전두엽의 역할도 다뤄볼게요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