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i._.MONEY/Ji._.tech

퓨즈와 EOCR의 차이,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

즨니 2025. 4. 7. 09:46
728x90
반응형

전기 장비를 다루다 보면 한 번쯤 들어보게 되는 용어,
바로 **퓨즈(Fuse)**와 EOCR(Electronic Over Current Relay)!

두 기기는 과전류로부터 장비를 보호한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기능과 방식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퓨즈와 EOCR에 대해 하나하나 알아볼게요 😊


🔥 퓨즈(Fuse)란?

퓨즈는 가장 기본적인 전기 회로 보호 장치예요.
쉽게 말해, 정해진 전류 이상이 흐르면 끊어져서 회로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 작동 원리

퓨즈 속에는 **금속선(도체)**이 들어 있는데요,
지정된 전류보다 큰 전류가 흐르면
도선이 열을 받아 끊어지며 회로를 차단합니다.

예: 10A 퓨즈 → 12A 전류가 흐르면 끊어짐

🔧 장점

  • 구조가 간단하고 저렴함
  • 빠르게 차단 가능

⚠️ 단점

  • 한 번 끊어지면 재사용 불가
  • 정밀한 설정이 어려움
  • 상태 확인이 어려움 (겉보기엔 멀쩡해도 끊어져 있을 수 있음)

⚙️ EOCR (전자식 과전류 계전기)란?

EOCR은 Electronic Over Current Relay의 줄임말로,
보다 정밀하게 장비를 보호하는 전자식 보호 장치입니다.
퓨즈와 달리 반복 사용 가능하고 다양한 설정 기능이 있어요.

💡 작동 원리

EOCR은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실시간으로 감지해요.
설정된 한도를 초과하면 릴레이가 작동
회로를 차단하거나 경고를 발생시켜줍니다.

예를 들어,

  • 설정값: 8A
  • 실제 전류: 10A → 지연시간 이후에 차단 작동

🔧 장점

  • 설정값 조정 가능 (과전류값, 시간 등)
  • 경고 기능, 표시 기능 등 다기능
  • 한 번 작동 후에도 재사용 가능
  • 정밀 보호가 가능

⚠️ 단점

  • 가격이 비쌈
  • 내부 회로가 복잡하고 유지보수가 필요할 수 있음
  • 전원이 필요함

🔍 퓨즈 vs EOCR, 어떤 차이가 있을까?

  퓨즈 (Fuse) EOCR (전자식 과전류 계전기)
작동 방식 열에 의한 도체 단선 전류 감지 후 전자적 차단
재사용 가능 여부 ❌ 불가능 ✅ 가능
정밀도 낮음 높음
설정 조절 ❌ 불가능 ✅ 가능 (전류, 시간 등)
가격 저렴 상대적으로 고가
유지관리 간단 복잡할 수 있음
전원 필요 여부 ❌ 필요 없음 ✅ 필요함

🛠️ 현장에서는 언제 어떤 걸 쓸까?

  • 퓨즈
    • 소형 회로나 일회성 보호가 필요한 곳
    • 비용이 민감한 단순 회로에 적합
  • EOCR
    • 모터 보호, 고가의 설비, 정확한 설정이 필요한 경우
    • 산업 현장, 제어판넬, 기계 설비 등에서 자주 사용

EOCR은 특히 모터 보호에 효과적인데요,
과부하, 지락, 결상 등의 다양한 조건을 감지하고
모터 손상을 예방할 수 있어 PLC나 자동화 장비에도 널리 쓰입니다!


💬 마무리하며

퓨즈와 EOCR은 모두 회로 보호를 위한 장치이지만,
단순한 보호냐, 정밀한 보호냐에 따라 사용처가 달라져요.

✔️ 퓨즈는 저렴하고 간단하게,
✔️ EOCR은 정확하고 신뢰성 있게 보호할 수 있다는 점 기억해 주세요 😊

전기/제어 관련 공부하시는 분들이라면
이 두 장치의 특성과 차이점을 정확히 이해해두는 것이
현장 실무나 자격증 시험에도 큰 도움이 될 거예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