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 봄에 가지가 마른다면? ‘가지마름’ 예방을 위한 필수 관리법 🪵

즨니 2025. 5. 30. 20:01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과수나 원예식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가지마름(枝枯病)' 현상에 대해 다뤄볼게요.

가지마름은 이름 그대로 가지가 말라 죽는 현상인데, 단순한 ‘고사’가 아니라 동해·냉해, 병해, 수분 부족, 영양 불균형 등 복합적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봄이 되면 "왜 가지가 시들지?", "왜 꽃이 안 피지?"라고 고민하는 분들을 위해,
가지마름의 주요 원인과 예방법을 정리해드릴게요! 🌸


❗ 가지마름, 왜 생길까?

가지가 마르는 원인은 다양하지만, 아래 네 가지가 가장 흔합니다.

1. ❄️ 동해(凍害)·냉해(冷害)

  • 겨울철 한파나 봄철 이상 저온으로 조직이 얼었다 녹으면서 세포 손상 발생
  • 주로 가지 끝, 어린눈, 새순 부위부터 마름

2. 🍂 병원균 감염

  • 가지마름병균(Botryosphaeria spp. 등)에 의한 감염
  • 상처 난 가지를 통해 침투하여 검게 마르고 죽음

3. 💧 수분 스트레스

  • 건조한 겨울, 또는 여름철 급격한 수분 손실
  • 뿌리 흡수 능력 저하 → 조직 탈수 → 끝부터 마름

4. 🧪 영양 불균형

  • 특히 질소 과다 공급 시, 연한 조직이 쉽게 동해에 취약
  • 칼륨, 마그네슘 부족 시 세포벽 약화

✅ 가지마름 예방법 7가지

1. 🍁 가을 전정 시기 조절

  • 전정은 너무 늦지 않게, 10~11월 중순 이전 완료
  • 늦가을 전정은 동해 위험 증가

2. 🌾 멀칭으로 뿌리 보호

  • 겨울철엔 나무 주위에 볏짚, 왕겨, 부직포 등을 덮어 뿌리 온도 유지
  • 블루베리, 복숭아, 포도 등 고냉지 민감 품종에 필수!

3. 💧 건조 방지

  • 겨울철 가뭄 시에도 수분 공급 필요
  • 눈이 오지 않는 지역은 1~2월 한 번씩 관수 권장

4. ☀️ 햇빛 직사광 차단

  • 가지가 직사광선으로 낮엔 녹고 밤엔 급속히 냉각되면 동해 발생
  • 햇볕 방향(남쪽) 가지는 하얀 도료, 석회유황 혼합제 도포로 온도 완화

5. ✂️ 손상 가지는 즉시 제거

  • 봄철 가지 끝이 말랐다면 아래 건강한 부위까지 잘라냄
  • 병해 전염 방지를 위해 절단면에 도포제 발라주기

6. 🧴 병해균 예방 소독

  • 전정 직후, 석회보르도액 또는 구리계 살균제 살포
  • **도포제(유황혼합제, 목초액)**도 함께 사용하면 효과↑

7. 🥬 균형 잡힌 시비

  • 질소만 주지 말고 칼륨·칼슘·마그네슘 함께 공급
  • 유기물(퇴비)로 토양 완충력 향상

🌳 가지마름 예방 캘린더

가을(10~11월) 전정 완료, 병해 방제, 유기물 공급
초겨울(12월) 멀칭, 도포제 도포, 보온 자재 설치
겨울철(1~2월) 간헐적 관수, 가지 점검
이른봄(3월) 마른 가지 제거, 비료 공급 시작
생장기(4~7월) 병해 방제, 과습·건조 방지
 

💬 마무리하며…

가지마름은 봄에 ‘갑자기’ 나타나는 듯하지만,
실제로는 전년도 가을~겨울 관리가 가장 중요합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겨울 속 손상이
봄의 생장을 막고 결국 가지를 고사하게 만들죠.

올해는 전정 시기 조절 + 멀칭 + 도포제 도포만 잘해도
봄에 마른 가지 보며 속상할 일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