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맨해튼 하이라인 파크: 도시재생의 대표 사례
1. 배경과 시작
• 산업 유산의 흔적: 하이라인(HIGH LINE)은 1930년대 뉴욕 센트럴 철도(NYC Central Railroad)의 화물 열차 노선으로, 미트패킹 지구와 첼시 지역을 연결했습니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화물 수송이 감소하며 폐허 상태가 되었고, 철거 위기까지 맞았습니다 .
• 시민의 힘: 1999년, 주민 조슈아 데이빗(Joshua David)과 로버트 해먼드(Robert Hammond)가 ‘Friends of the High Line’를 결성하고 공원 전환을 추진합니다. 사진작가들의 이미지와 유명 디자이너 다이앤 폰 퍼스텐버그 등 유명인 후원을 통해 기금 모금 및 지지를 이끌어냈습니다 .
2. 설계와 조성
• 디자인 협업: 필드 오퍼레이션스(Field Operations), Diller Scofidio + Renfro(DS+R), 그리고 식재 디자이너 Piet Oudolf가 협업하여 ‘어그리텍처’ 개념을 도입, 기존 철도 구조물을 활용한 자연친화적 공간을 설계했습니다 .
• 단계적 완공:
1단계: 2009년 개장 (건스보로트 ~ 20번가)
2단계: 2011년 개장 (20번가 ~ 30번가)
3단계: 2014년 개장 (30번가 ~ 34번가) .
3. 도시재생 및 경제적 파급 효과
• 부동산 가치 상승: 개장 이후 첼시 및 미트패킹 일대의 부동산 가격이 인근 지역보다 10% 이상 상승하고, 30건 이상의 고급 콘도 및 개발 프로젝트가 시작되었습니다 .
• 관광 및 경제 활동 촉진: 2009년 500만 명, 2019년 기준 연 800만 명이 방문하며, 하이라인은 뉴욕의 주요 관광 명소이자 지역 상권 부흥의 구심점이 되었습니다 .
4. 공간 구성 및 디자인 특징
• 자연과 도시의 조화: 자생식물과 야생화, 조경 수요를 최소화한 경관 설계로 자연 생태계를 보존하면서 도시와의 연결감을 유지합니다 .
• 다양한 분위기 구간: 산책로, 벤치 공간, 퍼포먼스 공간, 전시 설치 공간 등 다양한 분위기의 공간이 이어지며 도시 속 ‘쉼터’ 역할을 합니다 .
• 지속가능 인프라: 빗물 관리 시스템과 투수포장, 재활용 소재 사용 등을 통해 친환경성을 확보했습니다 .
5. 문화·예술과 커뮤니티 기능
• 공공 예술 플랫폼: 조각, 설치미술, 벽화, 그리고 다양한 공연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하이라인은 ‘도시 속 야외 갤러리’로 불립니다 .
• 커뮤니티 참여 확대: 현지 주민과 관광객이 함께 모여 교류하고, 예술가들이 활동할 수 있는 문화적 공간으로 확장되었습니다 .
6. 쟁점: 환경젠트리피케이션
• 하이라인 효과는 고급 주택 공급 확대와 함께 중산층·저소득층 이탈 문제를 동반했습니다. 일부 시민단체는 상업화와 보안 중심 운영 방식에 대한 비판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
7. 글로벌 확산과 영향
• 뉴욕의 선례는 마이애미 ‘언더라인(Underline)’, 서울 ‘세빛길 스카이 가든(Skygarden)’ 등 세계 각국에서 유사한 고가 보행 공원 형태의 도시재생 프로젝트에 영감을 주었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