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업무를 하다 보면 이메일 제목이나 회의 메모, 메신저에서
"F/U 요청드립니다.", "Follow-up 내용 공유드립니다."
라는 표현, 한 번쯤 보신 적 있으시죠?
처음 접하면 “이게 무슨 약자지?” 싶은데,
알고 보면 실무에서 정말 자주 쓰이는 핵심 커뮤니케이션 표현입니다.
오늘은 이 **Follow-up(F/U)**이라는 말이 어떤 의미인지,
언제, 어떻게 사용하는지, 실제 예문과 함께 쉽게 알려드릴게요!
1. Follow-up의 뜻은?
✔ Follow-up = 후속조치, 후속 행동, 사후 관리
어떤 일이나 상황에 대해 **“그 이후에 이어지는 조치나 피드백”**을 의미합니다.
간단히 말하면:
- "그 일, 마무리는 누가 할 거지?" → 그게 바로 Follow-up!
- "회의에서 논의된 내용, 어떻게 진행됐을까?" → Follow-up이 필요한 상태!
2. F/U는 뭐의 약자?
F/U = Follow-up의 축약 표현
- 메신저, 메일 제목, 문서 등에서 간편하게 줄여 씁니다
- 예: F/U: 지난 주 회의 안건 관련 공유, F/U 필요 건 정리
💡 ‘FU’라고만 쓰면 오해를 부를 수 있으니 ‘F/U’처럼 슬래시(/) 포함해서 사용해 주세요!
3. Follow-up이 필요한 대표적인 상황
- 📩 이메일 회신 요청 후 며칠이 지나도 응답이 없을 때
- 📋 회의나 프로젝트 후 ‘다음 단계’나 ‘진행상황’을 정리할 때
- ✅ 고객 상담이나 영업 이후 ‘추가 안내’가 필요할 때
- 📅 면접 이후 HR팀에서 결과 안내 전 연락할 때
4. Follow-up 실제 표현 예시
📧 이메일에서
- Subject: F/U – 지난 회의 안건 관련
- Just following up on my previous email.
(이전 메일에 대해 다시 연락드립니다.) - Please let me know if you need further information for follow-up.
(후속 조치에 필요한 정보가 있다면 알려주세요.)
🗣️ 회의나 업무 중
- “이 건은 제가 Follow-up 하겠습니다.”
- “담당자 지정해서 Follow-up 일정 잡아주세요.”
- “클라이언트 피드백 나오면 바로 Follow-up 부탁드려요.”
➡️ 보통 ‘누가 Follow-up을 담당하는지’, **‘언제까지 할 건지’**가 함께 정리되면 깔끔해요!
5. Follow-up 관련 표현 정리
follow-up action | 후속 조치 | Take follow-up actions after the meeting. |
follow-up email | 재촉 메일 | Send a follow-up email if there's no reply. |
follow-up call | 추가 통화 | Let's do a follow-up call next Monday. |
follow-up task | 후속 업무 | Please handle the follow-up task by Friday. |
6. Follow-up 쓸 때 주의할 점
- 지나치게 반복해서 보내면 ‘압박’처럼 느껴질 수 있음
→ 간격을 두고, 예의 있게 표현하기 - 단순 “Follow-up 드립니다” 보다는 맥락을 함께 전달
→ “지난 회의에서 논의된 건 중, xx 파트에 대한 진행 상황 공유드립니다.”
마무리하며
**Follow-up은 단순한 반복이 아니라 ‘책임의 연장선’**입니다.
비즈니스 환경에서 마무리 없는 커뮤니케이션은 없는 것과 같기 때문에,
꼭 필요한 시점에 Follow-up을 잘 해주는 사람이 신뢰를 얻고, 일도 깔끔히 마무리할 수 있어요.
오늘부터는 F/U라는 표현을 보고도 당황하지 말고,
‘후속 조치’의 개념으로 자신 있게 사용해보세요!
여러분은 Follow-up을 어떻게 하고 계신가요?
혹시 기억에 남는 F/U 사례나 꿀팁이 있다면 댓글로 공유해주세요!
공감과 구독은 더 좋은 실무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
728x90
반응형
LIST
'Ji._.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전기 기능사 시험 전날, 이것만 보면 돼! 핵심 정리 ✍️ (1) | 2025.04.02 |
---|---|
🧱 주철 vs 강(鋼), 무엇이 다를까? – "취성"과 "연성"으로 쉽게 이해하기 (0) | 2025.04.02 |
✨ 기하 공차(Geometric Tolerance)의 종류와 의미 알아보기! ✨ (1) | 2025.04.02 |
⚡ 유도 기전력이 뭐예요? 전기가 만들어지는 마법 같은 원리 ✨ (1) | 2025.04.02 |
[엑셀 기초 완전 정복] 기호, 단축키, 자주 쓰는 기능 한 번에 정리! (0) | 2025.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