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오늘은 기계 설계나 제조, 품질관리 분야에서 자주 등장하는 기하 공차에 대해 알아보려 해요.
기하 공차는 단순히 치수를 맞추는 것뿐만 아니라, 형상이나 위치의 정확도까지 관리하기 위해 꼭 필요한 요소랍니다!
혹시 도면에 이런 기호들 본 적 있으신가요?
🔺 ⭕️ 같은 모양들이 도면 안에 자주 보이는데, 바로 이게 기하 공차 기호예요.
지금부터 하나하나 같이 살펴보면서, 기하 공차가 왜 중요한지, 어떤 종류가 있는지 알아볼게요!
🧩 기하 공차란?
기하 공차(Geometric Tolerance)는 기계 부품의 형상(Shape), 방향(Orientation), 위치(Position), 흔들림(Runout) 등을 규정하는 공차예요.
즉, 단순한 치수 공차가 아니라, 더 정밀한 조립과 작동을 위해 필수적인 기준이죠.
기하 공차를 잘 설정하면 이렇게 좋은 점들이 있어요:
✅ 조립 불량 감소
✅ 생산성 향상
✅ 비용 절감
✅ 제품 신뢰성 증가
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기하 공차의 종류들을 알아볼까요? 😊
📚 기하 공차의 5가지 대분류와 14가지 종류
기하 공차는 크게 5가지 그룹으로 나뉘며, 총 14가지 항목으로 세분화돼요.
1️⃣ 형상 공차 (Form Tolerance)
형상 그 자체의 정확도를 규정하는 공차입니다.
직선도 (Straightness) | 선이 얼마나 곧은지를 규정 | ─ |
평면도 (Flatness) | 면이 얼마나 평평한지를 규정 | ▭ |
진원도 (Roundness) | 원형이 얼마나 정확한지를 규정 | ⭕ |
원통도 (Cylindricity) | 원통형 부품의 정밀도 | ◎ |
✔️ 형상 공차는 위치나 방향에 의존하지 않고, 해당 요소만 단독으로 측정 가능해요.
2️⃣ 방향 공차 (Orientation Tolerance)
기준 요소에 대해 특정 방향을 얼마나 잘 유지하고 있는지를 규정합니다.
평행도 (Parallelism) | 기준면에 얼마나 평행한지 | ∥ |
직각도 (Perpendicularity) | 기준면과의 직각 정확도 | ⊥ |
경사도 (Angularity) | 기준선/면에 대한 특정 각도의 정확도 | ∠ |
✔️ 방향 공차는 기준 요소가 꼭 필요해요.
3️⃣ 위치 공차 (Location Tolerance)
기준에 비해 위치가 얼마나 정확한지를 규정합니다.
위치도 (Position) | 특정 위치의 정확도 | ⌖ |
동심도 (Concentricity) | 중심점이 얼마나 일치하는지 | ◎ (이중 원) |
대칭도 (Symmetry) | 기준에 대해 얼마나 대칭적인지 | 🔺 (기호 없음, 단어로 표현됨) |
✔️ 특히 조립품에서 정렬 문제를 예방하는 데 매우 중요해요!
4️⃣ 흔들림 공차 (Runout Tolerance)
회전하는 부품의 진동(흔들림) 정도를 규정합니다.
단일 흔들림 (Circular Runout) | 회전 중인 면의 흔들림 정도 | ↗ |
전체 흔들림 (Total Runout) | 전체 표면의 흔들림을 규정 | ⤴ |
✔️ 흔들림 공차는 회전체의 정밀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어요.
5️⃣ 종합 공차 (Composite Tolerance)
여러 공차를 결합하여 하나의 기준으로 나타낸 형태예요.
예를 들어, 위치도 + 방향 공차를 함께 고려하거나, 다단 공차로 복합 조건을 표현할 수 있어요.
📝 실제로는 ‘복합 위치 공차’ 같은 식으로 도면에 명시됩니다.
🛠️ 기하 공차는 어디에 쓰일까?
실생활 예를 들어볼게요! 😊
- 자동차 엔진 부품: 축이 회전하면서 정확한 방향과 중심이 필요하죠. 여기서 흔들림, 동심도 공차가 중요해요!
- 프린터 내부 기어: 위치도와 평행도가 맞지 않으면 인쇄가 틀어지거나 마찰이 생겨요.
- 스마트폰 케이스 조립: 평면도와 위치도가 제대로 맞아야 깔끔하게 조립되죠.
💡 마무리하며
기하 공차는 처음엔 조금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부품의 성능과 조립 완성도를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기준이랍니다.
꼼꼼한 공차 설정은 설계자의 센스를 보여주는 부분이기도 해요! 😎
도면을 볼 때나 설계할 때, 오늘 배운 기하 공차 기호와 의미를 떠올리면서 하나씩 체크해보세요!
혹시 더 궁금한 부분이나 실제 도면 예제가 궁금하신가요? 댓글이나 메시지로 알려주세요 📩
앞으로도 유익한 기계설계 꿀팁 많이 공유드릴게요!
감사합니다 🙌
'Ji._.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주철 vs 강(鋼), 무엇이 다를까? – "취성"과 "연성"으로 쉽게 이해하기 (0) | 2025.04.02 |
---|---|
Follow-up(F/U)의 정확한 뜻과 활용법 정리! 이메일·회의·실무에서 자주 쓰이는 이유는? (0) | 2025.04.02 |
⚡ 유도 기전력이 뭐예요? 전기가 만들어지는 마법 같은 원리 ✨ (1) | 2025.04.02 |
[엑셀 기초 완전 정복] 기호, 단축키, 자주 쓰는 기능 한 번에 정리! (0) | 2025.04.01 |
🧲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자석! 네오디움 자석 완전 정복 💡 (3) | 2025.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