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i._.INFO/Ji._.Trivia

🇯🇵 우리가 무심코 쓰고 있는 일본어 유래 표현들 정리 ✍️

by 즨니 2025. 4. 5.
728x90
반응형

일상, 행정, 건축, 문학 속 일본식 말들, 알고 계셨나요?

안녕하세요~ 😊
오늘은 일상에서 자주 쓰이지만 사실은 일본어에서 유래된 말들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해요.

일제강점기 시절 일본어가 우리 사회 전반에 깊게 들어왔고,
그 영향으로 아직도 행정, 건축, 회사, 생활 전반에 걸쳐 일본어식 표현이 많이 남아 있어요.

이 포스팅에서는
✔️ 일상용어
✔️ 행정/공공 용어
✔️ 건축/기술 용어
✔️ 문학/언어 표현
등 분야별로 자주 쓰이는 일본어 유래 표현들을 살펴볼게요 😊


🏠 일상 속 일본어 유래 표현

  • 도장 → 일본어 "인칸(印鑑)"에서 유래. 지금은 서명으로도 많이 대체됨
  • 수고비 → 일본식 "수수료(手数料)" 번역. 지금은 수수료라는 표현이 일반적
  • 단골 → 일본어 "ひいき(贔屓)"에서 유래된 말
  • 봉투 → 일본식 포장 문화에서 온 말. 지금은 우리 일상에 자연스럽게 정착
  • 서비스로 드릴게요 → 영어 같지만 일본식 영어 표현. 순화어는 “덤으로 드릴게요”

📌 이 표현들은 거의 일상어처럼 정착됐지만, 그 유래는 일본어에 있다는 점이 흥미롭죠!


🏛️ 행정·공공기관에서 흔한 표현들

  • 귀하 → 일본어 "기카(貴下)"의 영향을 받은 표현
  • 금일, 차후, 당사, 당해 → 전부 일본식 문서체 표현.
    예) “금일 출석 바랍니다” → “오늘 출석 바랍니다”
  • 주지하다 → 일본식 표현 “알려드립니다”의 번역투.
  • 이상 없음 → "문제 없음"이나 “정상입니다”로 쉽게 표현 가능

🗂️ 요즘은 공공기관에서도 쉬운 말 쓰기 운동으로 많이 순화하고 있어요.


🏗️ 건축·공학 용어에 남은 표현들

  • 도면 → 일본어 "즈멘(図面)"
  • 비계 → 일본어 "아시바(足場)", 지금도 건설 현장에서는 그대로 쓰이기도 해요
  • 복도, 창호, 누수, 균열 등 → 일본식 한자어가 많지만, 자연스럽게 정착된 단어들

이런 표현들은 전문 분야에서 더 오래 사용되다가
지금은 우리말처럼 널리 퍼진 경우도 많아요.


📚 문학·번역·언어 표현에서의 일본어 잔재

  • 체험하다, 실시하다, 구성하다 → 전부 일본식 직역에서 온 표현들
  • 감수하다, 지도하다 → 출판·문학에서 자주 보이는 일본식 용어
  • 간주하다, 기재하다, 해당하다 → 공식 문서체에서 자주 등장
  • ~의 바, 예: "예술의 바에서" → 일본식 "~의 하에" 번역투

📖 특히 번역문, 학술 문서에서 일본식 표현이 많았고, 지금은 조금씩 순화되고 있어요.


😌 바꿔 쓸 수 있는 쉬운 우리말 예시

  • 금일 → 오늘
  • 차후 → 나중에
  • 실시하다 → 하다
  • 기재하다 → 쓰다
  • 감수하다 → 책임지다, 살피다
  • 서비스로 → 덤으로
  • 주지하다 → 알려드리다

✔️ 의미는 같으면서도 더 친절하고 부드러운 인상을 줄 수 있어요 😊


✍️ 마무리하며…

꼭 모든 일본어 유래 표현을 안 쓰자는 건 아니에요.
하지만 우리가 왜 이런 말들을 쓰게 되었는지 알고,
더 자연스럽고 쉬운 표현으로 바꿔볼 수 있다면
언어도 더 따뜻해지고 소통도 편해질 거예요.

작은 말 하나에도 역사가 있고, 습관이 있죠.
이런 걸 함께 알아가는 것도 정말 재미있고 의미 있는 일 같아요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런 주제 좋아하시면 외래어, 번역투, 쉬운 말 쓰기 관련해서도 이어서 포스팅해볼게요!

 

728x90
반응형